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얼마? 복지 수급 조건 완벽 해설

by 스위트콘222 2025. 5. 7.

복지제도를 신청할 때 가장 먼저 확인해야 할 기준은 바로 ‘기준 중위소득’입니다. 정부는 매년 가구 규모에 따른 중위소득을 발표하며, 대부분의 복지급여(생계급여, 주거급여, 교육급여 등)의 자격 판단 기준으로 활용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2025년 기준 중위소득과 각종 복지 수급 조건을 상세히 설명드립니다.

🔹 기준 중위소득이란?

기준 중위소득은 대한민국 전체 가구의 소득을 순서대로 나열했을 때 정확히 중앙에 위치한 가구의 소득입니다. 복지정책에서는 이를 기준으로 상대적 저소득층 여부를 판단합니다.

📊 2025년 기준 중위소득표 (보건복지부 고시 기준)

가구원 수 2025년 중위소득 (월) 생계급여 기준 (중위소득 35%) 주거급여 기준 (중위소득 47%)
1인 2,235,000원 782,250원 1,050,450원
2인 3,670,000원 1,284,500원 1,724,900원
3인 4,720,000원 1,652,000원 2,218,400원
4인 5,750,000원 2,012,500원 2,702,500원
5인 6,710,000원 2,348,500원 3,154,700원

*출처: 보건복지부 2025년 기준 중위소득 고시

🔎 주요 복지급여별 수급 조건 정리

1. 생계급여

  • 지원 대상: 중위소득의 35% 이하
  • 지원 내용: 가구별 기본 생계비, 식료품 및 필수 생계비 현금 지급

2. 주거급여

  • 지원 대상: 중위소득 47% 이하
  • 지원 내용: 지역·가구원 수에 따라 월 임대료 일정액 지원

3. 의료급여

  • 지원 대상: 생계급여 수급자 및 중위소득 40% 이하 일부
  • 지원 내용: 병원 진료비 전액 또는 일부 지원 (1종/2종)

4. 교육급여

  • 지원 대상: 중위소득 50% 이하
  • 지원 내용: 학용품비, 입학금, 교복구입비 등 학생 1인 기준 지급

✅ 복지 신청 전 확인해야 할 항목

  • 가구 소득인정액 산정: 실제 소득 + 재산 환산액 합산
  • 가구 구성원 수 정확히 확인 (건강보험 피부양자 포함 여부 등)
  • 복지멤버십 가입 시 자동 안내 및 신청 가능

📌 마무리

2025년 기준 중위소득은 복지수급 여부를 판별하는 가장 핵심적인 지표입니다. 위 표를 참고하여 본인의 가구 상황과 소득수준을 정확히 파악한 뒤, 복지로 또는 주민센터를 통해 꼭 필요한 복지제도에 신청해보세요. 놓치면 받을 수 없는 혜택, 지금 확인이 필요합니다.